개발/기타

시놀로시 나스에 Git 서버 올리는 방법

HuiYa 2019. 6. 21. 09:37

2019-01-17 15:50 최초 작성

 

시놀로시 나스에 Git 서버 올리는 방법
기존에 별도 리눅스 서버에서 돌리던 소스 백업 서버를 신규 나스 서버로 이전하게 되었다.
별도 리눅스 서버와 다르게 나스 계정과 git계정이 연동된다.

 

  1. 나스에 git 패키지를 설치한다.
    패키지 설치 후 패키지 실행시켜 사용할 나스 계정을 git에 접근 허용해준다.

  2. 폴더를 생성한다.
    신규 공유폴더(project)를 생성함.

  3. ssh로 접속
    슈퍼 관리자까지는 필요 없고 나스의 관리자 계정이면 충분하다.

  4. repository 폴더 생성
    이때 로그인한 계정이 공유폴더(project)에 쓰기 가능해야 한다.

    cd /volume1/project  
    mkdir DocStoryWeb.git  
  5. repository 생성

    git init --bare /volume1/project/DocStoryWeb.git
    git url 예시 - ssh://huiya@192.168.0.3/volume1/project/DocStoryWeb.git  
    ssh://{사용자계정}@{서버주소}{저장소 경로}  

    bare 옵션을 안 주면 에러 로그에 --bare 관련한 오류가 뜬다.
    근데 어쩔 때는 또 됨.
    뭔지 모르겠음.

  6. 소스트리 원격 연결 설정 후 푸시.
    Tool/Option/SSH Client Setting에 클라이언트를 OpenSSH 대신 PuTTY/Plink로 놓아야 로그인 창이 뜬다.
    OpenSSH는 지정된 키로 로그인 시도함.
    혹시 처음 로그인 페이지에서 잘못된 비밀번호를 입력했다면 아래 경로에서 해당 저장된 내역을 지워야 한다.

    C:\Users\{사용자명}\AppData\Local\Atlassian\SourceTree\passwd
    
    huiya@192.168.0.3
    AQAAANCMnd8BFdERjHoAwE/Cl+...
  7. 저장소 별 권한 설정 (옵션)
    DSM에서 project 공유폴더 속 각각의 프로젝트 폴더를 계정 별로 권한 설정을 했다.
    기본적으로 공유폴더의 권한을 상속 받지만 "폴더 우클릭/속성/권한/고급옵션/상속된 권한을 명시적으로 만들기" 선택하면 권한을 각각 부여할 수 있다.
    프로젝트의 담당자에게는 읽기/쓰기 권한을 주고, 나머지 계정은 읽기 권한만 부여하여 혹시나 다른 사람이 건들 수 없도록 했다.